※ § 소중한 자료

프로이드

까망쑤나 2010. 10. 25. 02:03

프로이드

 

주요개념

 

1) 경제적 개념

프로이드는 인간의 모든 행동은 본능의 지배를 받으며 정신에서지를 발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보고 있다

본능은 원천 목표 대상 추동 이 있다

만약 이러한 본능적 욕구를 표현하고 충족시키는데 방해를 받게 되면 불안을 경험한다

신체적긴장상태로 만들어지는 정신 에너지는 폐쇄체계이고 이것을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에 어떠한 비율로 배준되는가에 따라 각 개인이 보이는 행동은 달라진다고 보고있다.

 

2) 지형학적 모델

프로이드는 마음을 일종의 지도로 개념화하여 현상들을 단순화하고 명료화시켰다.

즉 마음을 의식, 전의식,무의식이라는 세 부분으로 조직화시켰다

의식은 감각 지각 경험 기억 으로 대표한다 그러나 프로이드는 개인이 인식할 수 있는 의식의 부분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믿었다

전의식은 즉시 인식되지는 않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다

전의식은 무의식과 의식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무의식은 욕구나 본능에 깊게 자리하고 있는 영역으로 인식할 수 없고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없는 접근 불가능한 것에 해당한다.

그는 꿈을 무의식적인 어떤 것을 왜곡하여 대치한 것으로 간주하고 무의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꿈을 해석해야 한다고 본다

 

3) 구조적 모델

 

프로이드는 지형학적 모델 다음으로 초기의 많은 개념들을 통합한 구조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프로이드는 성격은 원초아(id) 자아(ego)초자아(superego)라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전체 성격체계를 구성하고 각각의 하위체계는 개인의 행동에 각기 다른 영호ㅑㅇ을

미친다고 하였다

성격의 각 부분은 실존하는 것이 아니라 개념화된 것이다

 

원초아(id)는 성격의 가장 원초적인 부분으로 신생아가 지니고 있는 최초의 상태

단순하게 쾌락의 원리에 따라 만족을 추구한다

 

자아(ego)는 출생 후 주위 환경과 상호작용하기 시작하면서부터 곧 발달하기 시작한다

일차적 사고만으로는 긴장해소가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 사고를 해서 욕구충족 계획을 세우고

검증하게 되는데 이것이 자아의 현실검증이다

 

초자아(superego)는 인간의 도덕적 측면을 나타내며 부모나 다른 성인들이 아동에게 그 사회의 가치관과 규범을 전수하는

과정에서 발달 한다

초자아는 양심과 자아이상이라는 두 가지 하부체계를 발달시킨다

초자아의 기능은 원초아와 자아를 비판하여 사회규범에 맞는 생활을 하게 하는 것이다

 

4 역동적 모델

역동적 모델은 개인이 충동 또는 원초적 욕망에 의해 추진력을 갖게 되며

상반되는 사회적 기대와 갈등을 겪게 된다는 관점에 기반을 두고 있다

 

5) 자아방어기제

자아방어기제는 프로이드의 막내 딸인 안나 프로이드가 아버지가 제기한 자아의 방어기능에 대한 관점들을 정리하여

방어기제에 관한 체초의 체계적 이론을 수립하여

성격발달에서 방어기제의 역활에 관한 이해를 확대시켰다

 

1 억압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무의식적 정신기제

고통스럽거나 위협적인 충동 감정 환상 기억 등을 무의식 속으로 추방 시켜 의식화되는 것을 막아준다

억제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욕구나 기억을 의식적으로 잊으려고 노력하는 것 (실연 창피를 당한 기억들을 머리에서 지우려는 경우 )

 

2 반동형성

용납할 수 없는 감정 이나 충동을 정반대의 감정이나 행동으로 대체시켜 표현하는 것

 

3)퇴행

실패가능성이 있거나 불안한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초기의 발달단계나 행동양식으로 후퇴하는 것

 

4)동일시

용납할 수 없는 충동 그 자체는 부정하고 그 충동을 갖고 있는 사람 또는 그 사람의 일면과 동일화하여 받아들이는 과정

 

5)보상

심리적으로 어떤 약점이나 제한점이 있는 사람이 이를 보상받기 위하여 다른 어떤 것에 몰두하는 것

 

6)합리화

우리가 인식 .의식하지 못하는 동기에서 나온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에 대해 지적으로 그럴듯한 설명이나 이유를 대는 것

 

7)대치

정서적으로 아주 중요하지만 심리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대상을 수용가능한 비슷한 다른 대상으로 무의식적으로 대치하는 것을 의미

 

8)전치

실제로 있는 어떤 대상에 향했던 감정 그대로를 다른 대상에 표현하는 것

대치는 대상물에 중점을

전치는 감정에 중점을 둔다는 치이점